본문 바로가기
강아지 기본정보

강아지 기본 정보 - 강아지와 아이!!! 이런 점이 안좋다!! 단점 정리

by [사람곰] 2024. 5. 30.
강아지가 아이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안녕하세요. 앞에 글에서 강아지와 지내느 장점에 대하여 포스팅을 했는데요 이번에는 다른 관점에서 글을 써보겠습니다.

강아지는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일부 단점도 존재합니다. 강아지를 키우는 것은 많은 책임과 노력이 필요하며, 일부 상황에서는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강아지가 아이들에게 미치는 주요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1. 알레르기 및 건강 문제

 강아지는 일부 아이들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강아지의 털, 비듬, 침 등이 알레르기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아이들이 재채기, 눈 가려움, 피부 발진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천식이 있는 아이들에게는 강아지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많은 파양의 이유이기도 하는 부분입니다. 꼭 미리 애견카페등을 방문하여 많은 강아지를 만나보고 괜찮은지 알아 보세요. 그러면 나중에 불가피하게 강아지와 이별을 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을겁니다. 

2. 책임 부담

 강아지를 돌보는 일은 상당한 책임을 요구합니다. 아이들이 이 책임을 감당하기 어려울 경우, 부모나 다른 가족 구성원이 대신 이를 떠맡아야 하며, 이는 가정 내 갈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강아지를 돌보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아이들의 전반적인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강아지 입양 전 부모님과 아이와의 정확한 합의를 통해 자신이 맡은바를 미리 정해 주시거나 미룰 경우 제약이나 규칙을 명확히 하시면, 아이에게 책임감을 알려주는 기회가 될 수 있으니 미리 꼭 합의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아니면 어머님들 독박 육아로 변해가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강아지를 키우자고 엄마들을 스트레스로 내몰지 맙시다. 

3. 안전 문제

 강아지는 때때로 예측할 수 없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훈련이 잘되지 않은 강아지는 물거나, 할퀴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아이들에게 신체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작은 아이들이 강아지와 놀 때, 강아지의 거친 행동으로 인해 다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아이들이 어릴수록 피부가 연해서 쉽게 상처가 생길 수 있으니 바른 교육과 흥분도 제어가 필요 합니다. 덩치가 큰 강아지의 경우 리드줄을 아이가 잡지 않도록 하는게 좋습니다. 

4. 시간 및 비용 부담

 강아지를 키우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일입니다. 애 하나 더 키우는 정도라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을 정도입니다. 정기적인 먹이, 건강 관리, 예방 접종, 미용 등의 비용은 상당할 수 있으며, 이는 가정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강아지를 돌보는 데 필요한 시간은 아이들이 다른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사전에 협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아이들도 책임을 나눌 수 있도록 지도 해 주세요. 

5. 정서적 부담

 강아지가 아프거나 죽게 되면, 아이들에게 큰 정서적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애착을 많이 가진 아이일수록 이러한 경험은 큰 상실감과 슬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아이들의 정서적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통해 정서적으로 성장을 할 수도 있으니, 이를 받아들이는 교육을 아이와 함께 진행하시면 자연의 섭리와 사회성 교육에 좋을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

  1. Mayo Clinic. (2020). Pet allergy: Are you allergic to dogs or cats?
  2.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018). Pet Ownership Statistics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Pets and Your Health
  4.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17). Emotional and Behavioral Impact of Pet Loss on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42(7), 861-871.
  5.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2018). Pet Allergies

 이처럼 강아지를 키우는 것은 많은 혜택을 제공하지만, 위와 같은 단점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단점을 잘 이해하고 관리함으로써 강아지와 아이들이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입양전 구성원의 규칙을 정하고 할일을 미리 분배하는 등 협의가 필요 하며, 모든이의 동의가 없이 입양을 하는 경우 가정 불화의 요인이 되기도 하니 꼭 고려 하셔야 합니다. 

 

 그러니 입양전 가족끼리 미리 공부도 하시고 협의도 하시며 나중에 입양 후 문제를 미리 방비 하고 건강한 가족이 될 수 있을거에요!!!!!

 

난 착하다고.